주식_재테크

돼지독감(돼지열병) 바이러스 관련주 정리

행복부자 2020. 7. 1. 17:00
반응형

 

#아프리카돼지열병 #돼지열병#돼지열병관련주

돼지독감(돼지열병) 바이러스 관련주 정리

돼지열병(G4 돼지독감)


코로나 이슈가 아직도 기승을 부리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돼지 열병이 아닌 "사람한테 전염이 가능한" G4 돼지 열병이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중국에서 발표된 이 내용으로 현재 체시스, 이글벳, 우진비앤지 등이 이틀째 급등을 했습니다.

물론 1차 관련주는 앞서 말씀드렸듯이 

돼지열병, 아프리카돼지열병, 돼지열병관련주

체시스: 자회사 넬바이오텍이 항생제와 소독제 등 동물용 의약품, 사료 생산

우진비앤지: 돼지열병 백신 '이뮤니스 CSF-M' 이 농림축산검역본부 허가를 받음

돼지열병, 아프리카돼지열병, 돼지열병관련주

 

돼지열병, 아프리카돼지열병, 돼지열병관련주
이글벳: 동물 약품제조 및 판매를 하는 기업

위 3개 업체가 1차 관련주 들입니다.

돼지열병, 아프리카돼지열병, 돼지열병관련주
그런데 이런 뉴스가 마구 돌때 우리는 무작정 오르는 말에 뛰어들면 낙마하여 다칠 가능성이 큽니다.
물론 뉴스가 잘 만들어지긴 했지만 중국에서 생산된 기사이다보니 조금 더 들여다 봐야 할 포인트가 있다고 봅니다.


돼지열병, 아프리카돼지열병, 돼지열병관련주
우선 전염병 관련하여 주식과 연계하여 짚어봐야 할 포인트는 아래 3가지 정도 될 것 같습니다.


1. 사망율


사망율이 높을수록 공포감을 크게 불러일으키며, 이 확율이 높을수록 주가에 반영이 크게 됩니다.
코로나19는 상대적으로 사망율은 낮은 축에 속하지만 전염성이 말도 안되게 높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며,
이번 돼지 열병 기사를 봤을 때는 사망율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왜냐하면, 
기사에서 연구진이 밝힌 내용 중 2011년부터 2018년까지 3만건의 검채를 채취해 확인 한 결과 2016년부터 이 바이러스가 퍼저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한 부분 때문인데요.
아마 사망율이 높았다면 이때부터 심각한 문제가 되었을 것이라는 판단에서 입니다.
돼지열병, 아프리카돼지열병, 돼지열병관련주

2. 전염성

 

기존 돼지 열병은 돼지에서 사람으로 전이가 되지 않았지만 이번에 발견된 G4 바이러스는 변이과정을 거치면서 사람 간 전염이 쉽게 되어 팬데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하였습니다.
또한 인간 감염에 필요한 모든 필수적 특징들을 지니고 있다고 하였는데요. 무서운 것이 이 전염성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통계적으로 사망율이 10% 정도 수준밖에 안되지만 엄청난 전염성 때문에 세계를 공포에 몰아 넣었습니다.
메르스가 사망율만 보면 50% 정도로 훨씬 높지만 전염성이 낮아 코로나보다 더 위험성은 낮았던 것이죠.

아직까지 G4 돼지열병이 사람에게 전염되는 사례가 보고되지 않았기 때문에 조금 더 주시를 해야하며,
만약 인간 감염사례가 나오기 시작한다면 이 쪽 테마가 코로나 이상으로 강하게 이뤄질 수 있다고 봅니다.

그렇기 때문에 첫번째 감염사례와 그 다음 환자간 전파속도가 얼마나 빠른지를 확인하고 이것이 문제가 될 수준이라면
아래 관련 테마들을 관심에 두고 매매하시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3. 부각될 테마

 


- 방역관련 (잠깐 반짝할 가능성 큼)
- 치료제 백신 테마
- 대체육 테마 (닭고기, 수산 관련주)

현재는 방역과 동물용 백신/치료제 관련 주식이 관심을 받고 있으나 사람에게 옮겨졌을 때는 제약/바이오 관련주들이 다시 상승을 할 가능성이 높고 소독제 관련 종목들이 다시 주목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시기 바랍니다.
돼지열병, 아프리카돼지열병, 돼지열병관련주

 


대체육 관련 종목은 체리부로, 마나커에프앤지나 신라에스지, CJ씨푸드 등을 지켜보시면 될 것 같네요.

돼지열병, 아프리카돼지열병, 돼지열병관련주

 

 

돼지열병, 아프리카돼지열병, 돼지열병관련주

돼지열병, 아프리카돼지열병,

 

돼지열병, 아프리카돼지열병, 돼지열병관련주

돼지열병관련주

돼지열병, 아프리카돼지열병, 돼지열병관련주

그러나 아직까지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사람한테 전염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이고 사례가 없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관심을 두고 지켜만 보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7월부터 지수가 상당히 불안하기 때문에 방향성을 확실히 보고 진입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