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공유

Just dance 2023 offline 으로 즐기는 방법(nintendo switch)

행복부자 2022. 12. 29. 17:14
반응형

닌텐도스위치 게임중 저스트댄스 2023 이 지난달 22일 발매되었습니다. 

제 가이드는 저스트댄스2023 을 PC 에뮬레이터나 롬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내려받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오프라인으로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는 가이드입니다. 

필요하신 분들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JUST DANCE 2023 OFFLINE Unlock 을 위해 필요한 파일과 경로

• Atmosphere
• SigPatches
• JKSV (included in package) - https://github.com/J-D-K/JKSV/releases
• DBI -https://github.com/rashevskyv/dbi/releases/tag/439
• Your favorite NSP installer (in this case we are using Dbi) 
• 10GB Switch Internal Storage
• A type-c usb line 

 

내려받을 파일은 JKSV  와 DBI Installer 가 최신버전으로 설치가 되어있어야 하며, 10기가 정도 이상의 스위치 내장 메모리공간이 확보되어 있어야 합니다. 

내장메모리 공간이 확보되지 않았다면 스위치 설정에서 내장메모리에 설치된 게임을 외장메모리로 옮기는 메뉴를 이용하여 설치게임 경로를 이동하고 공간을 확보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롬파일은 nsw2u 같은 사이트에서 내려받으면 되는데요. 

내려받았다면 이번에는 4개의 nsp 파일이 있으실 꺼에요.

 

Just Dance 2023 [0100BEE017FC0000][v0].nsp

Just Dance 2023 [0100BEE017FC0800][v65536].nsp

Just Dance 2023 [DLC 1] [0100BEE017FC1001][v0].nsp

Just Dance 2023 [DLC 4] [0100BEE017FC1004][v0].nsp

 

다운받은 4개의 nsp 파일을 모두 설치해 주시고 오프라인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활성화 파일 (Activation File) 을 설치해 줍니다.

just dance 2023 오프라인 모드 가이드

 

오프라인 모드 저장데이터 (Cache Data) 생성방법

 

먼저 닌텐도스위치의 홈브류(Homebrew) 런처를 실행해서 진입해 줍니다. 

닌텐도스위치 홈브류 화면

여기서는 JKSV 와 DBI Installer 를 사용하게 되는데요. 

잘 따라오시면 어렵지 않습니다. 

 

먼저 JKSV 앱을 실행한 후 스크롤을 내리다보면 Cache 라는 메뉴가 보이실꺼에요.

jksv 메뉴중 cache 화면

여기에서 X 버튼을 눌러 User Options 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메뉴가 나오는데, 거기서 Select Create Save Data 메뉴를 선택합니다. 

그 다음 Just Dance 를 선택해 줍니다. 

Justdance cache data 가 이미 존재하면 그전에 삭제부터 진행한 후 진행해 주세요.

저는 설치후 게임을 실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Cache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Just dance 를 선택하면 Cache Index 를 설정하는 화면이 나오는데요.

기본적으로 처음에 0이 나와있을꺼에요.

그대로 OK 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하셨다면, 저장을 하셔야 하는데요. 

게임아이콘이 아래 그림처럼 선택된 상태로 이동한 후 X 버튼을 눌러서 메뉴를 불러줍니다. 

 

Extend Save Data 메뉴를 선택해주면 되는데 그러면 cache size 를 입력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이것은 첫번째 Chche 이기 때문에 400M 를 적용하고 그 이후는 2000M 를 입력할 것입니다. 

 

 

400메가 입력후 OK 를 누르면 Save Data for Just Dance extended 라고 표시되었다가 사라질 거에요.

 

이제 나머지 Cache 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에서 Cache index 0번을 만들기 위해 했던 방법으로 Cache index 1과 2 를 만듭니다. 

그리고 이번에 만들때는 각각의 index 에 대한 size 를 2000 MB 로 입력해 줍니다. 

 

Cache index 를 만들면 위 그림처럼 오른쪽 옆으로 게임타이틀 이미지가 추가로 오른쪽 옆으로 생성됩니다.

이렇게 3개를 모두 만드셨다면 이제 DBI Installer 를 이용해서 추가데이터를 복사해야 합니다. 

 

 

DBI Installer 를 이용한 Just Dance offline 게임데이터 복사

hbmenu 실행화면

홈브류 에서 DBI 인스톨러를 실행합니다. 

여기서는 USB C타입 케이블도 필요하니 미리 준비해 두세요.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그림처럼 Brower installed applications 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화면에서 Just Dance 를 선택합니다. 

그 후 닌텐도스위치의 R 버튼을 눌러 Save 항목으로 이동  후 + 버튼을 눌러줍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면 이해가 빠르게 되실꺼에요.

그러면 create new save 버튼이 보이실텐데 여기서 A 버튼을 눌러 저장해 줍니다.

 

여기서 선택할때 Account 는 본인이 사용하는 계정을 선택해 주면 됩니다. 

그리고 실행할때 앞으로 그 계정으로만 실행하셔야 합니다. 

다른계정으로 접속하면 데이터가 맞지 않아서 오프라인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위 단계까지 진행하셨다면 dBI 메인메뉴로 돌아옵니다.

 

이제 Run MTP responder 를 실행합니다. 

이때 USB C Type 케이블을 컴퓨터와 연결해 놓은 상태에서 실행해야 합니다.

 

그러면 닌텐도스위치 장치가 컴퓨터 탐색기 폴더 공간으로 보여지게 됩니다. 

 

 

스위치 항목으로 보여지며, 더블클릭 해보면 안에 아래와 같은 구조로 폴더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폴더는 7번 Saves 폴더입니다. 

이 폴더 안에 들어가서 아래의 경로를 찾아줍니다. 

 

본인의 계정이름 폴더 안에 들어간 후 게임롬 받을 때 받았던 OfflinesaveNx.txt 파일을 넣어줍니다. 

그리고 롬파일 받을때 함께 받았던 저장데이터 파일도 아래 각각의 폴더에 넣어줍니다. 

다운받은 폴더 안에 Cache Data 폴더로 들어가면 0000, 0001, 0002 로 숫자가 붙어있는 폴더가 보이실텐데요.

각각의 폴더안에 있는 내용을 아래 경로에 각각 붙여넣어 주면 됩니다. 

 

\Installed games\Just Dance®\Cache.0000

 \Installed games\Just Dance®\Cache.0001

\Installed games\Just Dance®\Cache.0002

 

이렇게 하면 모든 설정과 복사 과정이 끝이 납니다. 

복잡하고 어려운것 같지만 하나하나 따라해 보면 그렇게 오래 걸리지 않습니다. 

 

저스트댄스 2023 오프라인 한국어로 언어 설정 방법

게임실행을 하면 처음과 달리 오프라인으로 실행이 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그런데 처음에 중국어로 보이실꺼에요.

저장데이터가 중국어판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인데 한국어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게임실행 첫 화면에서 왼쪽 맨 아래 톱니바퀴 같은 모양을 누르시면 설정 항목이 보이실꺼에요.

 

설정 화면에서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데 여기서 한국어를 선택해주면 모두 한국어 버전으로 변경됩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저장된 음원들의 댄스 실행은 가능하지만 오프라인의 경우 저장 및 추가적인 작업에 대한 제약은 있습니다.  

반응형